Previous Page  4 / 13 Next Page
Information
Show Menu
Previous Page 4 / 13 Next Page
Page Background

ӗ

س

ۖЦ

[특집] 김대건·최양업 신부님탄생

올해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탄생 200주년의 본달인 8월을 맞

이했습니다. 8월은 김대건 신부님과 관련이 깊습니다. 일

단 그분 생일인 8월 21일이 한여름인 8월에 들어가 있고,

그분의 서품 기념일이 8월 17일입니다. 사제 서품을 받은

후 페레올 주교, 다블뤼 신부와 함께 라파엘호를 출범시킨

날이 8월 말일인 31일이었습니다. 그리고 한 해가 지나서

옥중에서 마지막 편지를 쓰신 날이 8월 26일이고, 조선 교

우들에게 보내는 마지막 한글 편지 역시 그즈음에 쓰인 것

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볼 때 김대건 신부님은 한 여름인

8월의 사나이요, 더위와 고난을 물리치는 신앙의 용사라

하겠습니다.

신부님은 신학생 시절 에리곤호의 통역 임무를 통해 신

(信德)

이 더하여졌고, 부제 서품 후에 성직자가 되어 용덕

(勇德)

이 더하여졌습니다. 이 신덕과 용덕을 합쳐 놓으면 바

로신앙의용사가되고, 주님의용사가됩니다.

가톨릭 성가 287번 중에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 노

래’가 있습니다. 그 비유의 뜻을 잘 되새겨야 최민순 신부

님이가사를지은본뜻을알수있습니다.

“♪서라벌 옛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 선비네 흰 옷자

락 어둠에 짙어갈 제 진리의 찬란한 빛 그 몸에 담뿍 안고

한 떨기 무궁화로 피어난 님이시여” 경주 서라벌의 불교

국가로 통일을 이룬 신라의 시대도 지나가고, 선비의 나라

유교의 시대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때, 복음을 안고

들어온 사제는 바로 한 송이 무궁화로 상징되는 한국인 첫

사제입니다. ‘지지 않는 꽃’이라는 뜻의 무궁화

(無窮花)

로 김

대건 신부님을 표현한 것은 영원한 생명을 상징하기도 합

니다. 3절에 보면 “숭가리 언저리에 고달픈 몸이어도 황해

의 노도엔들 꺾일 줄 있을소냐”라는 대목이 있습니다. ‘숭

가리’는 송화강의 만주식 발음이라고 합니다. 김대건 신부

님이 육로로 조선을 오갈 때 반드시 송화강을 지나 그 언

저리에서 쉬기도 하고 강을 바라보기도 하셨을 것입니다.

때로는 노곤한 여정이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돛단배

를 끌고 황해를 건널 때 그 ‘성난 물결

(노도, 怒濤)

’도 김대건

신부님의선교여정을가로막지는못했습니다.

8월에 태어난 김대건 신부님은 9월에 천상에서 다시 태

어나십니다. 신앙의 용사로서 김대건 신부님이 우리에게

전해주는 증언 가운데 사형 직전의 마지막 강론만큼 강렬

한 것도 없습니다. “나는 이제 마지막 시간을 맞이하였으

니 여러분은 내 말을 똑똑히 들으십시오. 내가 외국인들과

교섭을 한 것은 내 종교를 위해서였고 내 천주를 위해서였

습니다. 나는 천주를 위하여 죽는 것입니다. 영원한 생명

이 내게 시작되려고 합니다. 여러분이 죽은 뒤에 행복하기

를 원하면 천주교를 믿으십시오. 천주께서는 당신을 무시

한 자들에게는 영원한 벌을 주시는 까닭입니다.” 김대건

신부님 탄생의 달 8월을 맞이하여 삶과 죽음, 부활의 의미

를다시한번되새겨봅니다.

조한건

프란치스코신부 | 한국교회사연구소장

신앙의용사김대건탄생200주년

탄생

(삶)

, 순교

(죽음)

, 성인

(부활)

의의미

올해는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 탄생 200주년 희년이자 김대건 신부님이 유네스코 세계 기념 인물로 선정된 의미 있는 해입

니다. 희년을 지내는 동안, 하느님을 사랑하신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과, 같은 해에 태어난 가경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님의

모범을 본받아 두 분의 영성을 우리 삶에 깊이 새기고자 합니다.

200

th

[특집] 김대건·최양업 신부님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