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ӗ
س
ۖЦ
매일 미사에 보면, 날짜 뒤에 (녹), (홍), (자) 이런 표시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색을 구분하는 이유와 색깔별 의미가 무
엇인지궁금합니다.
정확히 보셨습니다. 대림부터 시작해서 그리스도
왕 대축일까지 이어지는 일 년의 전례력은 각 날짜에
모두 특정한 색을 배정하고 있습니다. 대림 세 번째
주일인 오늘은 (자)라는 표시로 보라색을 배정합니다.
이 같은 색들은 그날 전례의 특성을 보여주는 상징입
니다. 각각의 색깔이 고유한 상징과 의미를 담고 있다
는 것은 교회 밖에서도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집니다.
흰색을 보면서 순수함을 떠올리는 식으로 말이죠. 우
리 교회는 색채가 가지는 이와 같은 특별한 의미들을
받아들여서, 제의나 그 밖의 전례 용품에 적용해왔습
니다. 미사를 집전하는 사제가 입고 있는 제의의 색만
봐도, 전례 주년에 따라 진행되는 그리스도교 삶의 의
미를 겉으로도 효과 있게 파악할 수 있으니까요.
(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 345항 참조)
최근에는 전례 용품뿐만 아니
라, 성전 내 조명이나 화면 등에도 다채롭게 활용하면
서 전례에 참여하는 교우들이 전례의 의미를 더 깊게
되새길수있도록돕는시도들도나타나고있습니다.
교회가 전례에 활용하는 색은 역사를 거치며 점점
늘어 왔습니다. 초기 교회에서는 아예 특정한 색을 사
용하지 않았지만, 흰색을 필두로 점차 늘어났고, 현재
6개정도의색으로정리하여사용하고있습니다. 어떤
색을 언제 사용하는지와 관련하여, 교회의 공식 문헌
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표로 정리해 두었으니 함께 살
펴보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여기에 더하여, 현행 전
례 규정은 각 주교회의가 민족 문화와 전통에 맞는 전
례 색깔을 결정하여 교황청에서 인준을 받으면, 사용
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위령 미사와 장례 예식에 삼베 색과
(가톨릭대사전, 전례복
항목 참조)
, 흰색을 추가하여 쓸 수 있게 했고, 특별히 성
대하고 기쁜 전례에서는 황금색을 쓸 수 있게 했습니
다.
(한국어판 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 346항 부속 설명 참조)
이렇게
제의 색만 보아도 그날 전례의 성격을 알 수 있으니,
그에합당한마음의준비를할수있으면좋겠습니다.
서울주보와 함께 만드는
가톨릭 교리 상식
코너
「가톨릭교리상식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이벤트에
참여해 주신 분들의 질문으로 꾸며집니다.
대림시기에사용되는보라색을제의와대림초는물론, 화면에도다채롭게사용하는모습.
사진길동성당제공
색과상징
사용시기
흰색
영광, 순결, 기쁨을상징
주님의 부활 시기, 성탄 시기, 그 밖에
수난에 관계된 거행을 제외한 주님의
축제일, 복되신동정마리아, 거룩한천사들,
순교자 아닌 성인들의 경축일, 모든 성인
대축일,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성
요한 사도 복음사가 축일,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 성바오로사도의회심축일
빨간색
주님의열정적사랑과
피를상징
주님 수난 성지 주일과 성금요일, 성령
강림 대축일, 주님의 수난 전례, 사도들과
복음사가들의 천상 탄생 축일, 그리고 순교
성인들의경축일
초록색
생명의희열과희망의색
연중시기
보라색
참회와보속을상징
대림 시기와 사순 시기, 죽은 이들을 위한
시간전례와미사
검은색
죽음을상징
관습에 따라 써 온 곳에서는 죽은 이들을
위한미사에사용
분홍색
기쁠때가온다는
희망을상징
관습에 따라 써 온 곳에서 기뻐하여라 주일
(대림 제3주일), 즐거워하여라 주일(사순
제4주일)에사용
사용시기는로마미사경본총지침346항참조
색상징은서울주보2017년8월13일자 ‘교리산책’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