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ӗ
س
ۖЦ
[특집] 김대건·최양업 신부님탄생
희년
(禧年)
이 끝나고 전례력으로
새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지난 한
해를 돌이켜 보며 희년을 잘 살았
는지 반성해봅니다. ‘당신이 천주교인이오?’라는 주제로
김대건 신부님 탄생 200주년과 최양업 신부님을 기억하
는 올 한해에 그분들이 살아생전 보여주었던 신앙의 증거
와 성무 활동을 되새겨보았습니다. 어려운 마카오 유학 생
활 중에 김대건 소년이 성장통을 극복해가며 청년 신학생
이 되어 통역의 임무를 수행하고 신덕
(信德)
과 용덕
(勇德)
을
키워나갔습니다. 김대건 신부님만이 가진 과감성, 그것이
때로는 스승 신부님들에게는 위험한 모험으로 보였을지라
도, 나룻배를 몰고 서해를 건너며 바닷길을 개척했던 조선
의 첫 사제! 옥중 생활에서, 새남터 형장에서 보여주었던
신앙의 용사로서의 모습! “그렇소. 나는 천주교인이오.”하
고 믿음을 증거하고, “영원한 생명이 내게 이제 막 시작되
려고 합니다.”라고 형벌의 칼 앞에서 공표했던 김대건 신
부님을만났습니다.
그렇게 한해를 지내면서 우리는 “당신이 천주교인이
오?”라는 질문에 어떻게 응답했는지요? 혹시 코로나19를
핑계로 “저는 잠시 쉬는 중입니다.” “저는 냉담 중입니다.”
“온라인이훨씬편합니다.”라고하지는않았겠지요?
동갑내기 최양업은 첫 번째로 부르심 받은 신학생으로
학생 시절과 사제생활 내내 스승과 동료 사제로부터 사랑
과 칭찬을 받았습니다. 규칙적이고 바른 신학생, 성적이
우수하고 모범적인 신학생의 전형을 보여주었고, 베르뇌
주교님으로부터는 “12년 동안 끊임없이 그는 사제의 모든
본분을 지극히 철저하게 지키며 모범을 보였고, 구령사업
도 성공적으로 해냈습니다.”
(1861년 9월 4일 베르뇌 주교의 서한)
라
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외국인 선교사들은 최양업 신부 같
은 이가 10명만 되면 조선 팔도가 다 복음화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가경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님은 그분
의 겸손함에서 드러나는 성실한 성무 활동으로 산골 교우
촌을 방문하며, ‘찾아다니는 사목’을 하였습니다. 한여름
휴식 시간에는 다블뤼 주교님의 작업을 도와 교리서와 기
도서의 한글 번역을 도맡아 하셨습니다. 그렇게 당신의 몸
을 돌볼 겨를도 없이 교우들의 삶과 영혼을 돌보시다가 길
위에서선종하신사제입니다.
그렇게 한국 교회에는 김대건 성인과 가경자 최양업 신
부님 두 기둥이 든든하게 자리하고 있습니다. 한국 교회
가 희년을 지내는 가장 큰 이유는 그 복된 한 해의 기쁨과
구원을 한 해에 그칠 것이 아니라 삶으로 계속 이어나가
야 한다는 뜻에 있습니다. 희년은 복된 해, 기쁨의 해, 대
사
(大赦)
의 해, 곧 용서와 구원의 해입니다. 희년은 끝났지
만 두 분이 남기신 피의 순교와 땀의 순교의 자취는 피땀
어린 정성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제 말씀
(言)
이 사람이 되
신
(成)
정성된
(誠)
역사를 되돌아보며 희년
(禧年)
을 다시 살아
갑시다.
“저는 그리스도의 힘을 믿습니다. 그분의 이름 때문에
묶였기 때문입니다. 하느님께서 형벌을 끝까지 이겨낼 힘
을 저에게 주실 것을 기대합니다.”
(1846년 6월 8일 김대건의 옥중
편지)
조한건
프란치스코신부 | 한국교회사연구소장
복된해를이어가며
니다. 희년을 지내는 동안, 하느님을 사랑하신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과, 같은 해에 태어난 가경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님의
모범을 본받아 두 분의 영성을 우리 삶에 깊이 새기고자 합니다.
200
th
[특집] 김대건·최양업 신부님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