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ƾ
ٱ ؽ
말씀
의
이삭
우리의안식처
신유진
그라시아
|
국악인
몇 년 전, 부모님과 인천에 여행을 갔을 때, 그 근처의
성당을 찾아 함께 미사를 드리기로 했습니다. 미사가 시작
되기 전에 주위를 둘러보았는데 평일 오전 시간이라 청년
은 저밖에 없었습니다. 강론 중에 신부님께서 우리가 힘든
상황에 처했을 때 어떤 방법으로 극복해야 하는지에 대해
말씀을 시작하셨습니다. 그러다 문득 낯선 젊은이인 제가
눈에띄었나봅니다.
“힘든 일이 있을 때 친구랑 술 한잔하면서 스트레스 푸
나요? 보통 어떻게 해요?”라며 신부님께서 물어보셨습니
다. 저는솔직하게말씀드렸습니다.
“빈 성당에 앉아서 하느님께 말씀드려요.” 신부님께서
잠시멈칫하시더니대답하셨습니다.
“아, 그래서 이 시간에 여기 미사 드리러 와 있는 거구
나!”
저는 하느님, 성모님께서 항상 함께하신다는 것을 느끼
게 된 후로, 그분들과 자주 마음속으로 대화하게 되었습니
다. 일상속에서저의다양한감정들을말씀드리고, 누군가
가 나를 괴롭히거나 상처를 줬을 때도 순간의 화살기도로
저를보호하곤합니다. 이렇게일상속기도가습관화될수
있었던 것은 제 나름대로 그만큼 어렵고 힘든 순간들을 겪
어왔다는이야기가될수도있을것같습니다.
처음 판소리를 취미로 배우기 시작했을 때, 노래는 저에
게큰즐거움이었습니다. 지금도그런것은변함이없지만,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여러 무대 경험과 입시를 거쳐 국
악 중·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국악과를 졸업하기까지 엄청
난 부담감들을 이겨내야 했습니다. 그동안의 고생이 보답
을 해준다는 감사함에 눈물 흘린 날도 있었지만, 그것들은
오랜인고의시간동안쓴고통을맛본뒤에야찾아온기쁨
이었습니다. 대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대회를 통해 실력을
끊임없이 증명해야 했고, 더 많은 사람들과의 소통을 위해
전통에 기반을 둔 창작물을 만들며 고군분투했습니다. 고
개를 겨우 넘으면 또 다른 고개가 나타났고, 그 크기가 점
점커지는것만같았습니다. 마음의은신처없이저혼자였
다면절대넘을수없었을것입니다. 하느님과성모님손을
잡고함께간것이불가능을가능케했습니다. 요즘은코로
나때문에힘든일이되었지만, 언제든성당이보이면성전
에들어가예수님성체앞에서제마음을다털어놓곤했습
니다. 그러고 나면 나를 무겁게 짓누르던 일들을 긍정적으
로 이겨낼 수 있는 힘이 생겼고, 주님께서 그 힘으로 단단
히 뭉친 마음속 응어리들을 얼음 녹듯 사라지게 해주셨습
니다.
지금도 끊임없이 인생의 고개를 넘고 있는 저와 많은 분
들이, 힘들 때 마음의 안식처를 기억하고 쉬어갈 수 있길
바랍니다. 제가어릴적피정에서들었던묵상곡의가사처
럼말이죠.
‘넘지못할산이있거든주님께맡기세요. 주님밖에없어
요. 나는그길갈수없지만, 주님이대신가요.’
나를이끄는
성경구절
임향
골롬바
명동대성당